[김가빈의 외교/해외이슈 칼럼 6] 공공외교란 무엇일까?

정부와 국민이 모두 주체이자 대상인 공공외교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공공외교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정치인들도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과연 공공외교란 무엇일까? 

 

공공 외교란 '공중의 태도가 외교정책의 형성과 집행에 대해 갖는 영향력에 대처하는 것'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있다. 이 용어와 정의는 1965년 미국 터프츠대학교 플래처 스쿨에 에드워드 머로 공공외교센터 설립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계속된 수정을 거쳐 1970년대 후반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공공외교란 정부와 민간이 다른 나라 국민의 여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해당 나라의 정부 정책을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벌이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즉, 상대국 국민의 인식을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려는 정부와 국민들의 의도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공공외교는 전통외교와 다르다. 전통외교는 주로 정부 대 정부가 주체가 되며 거의 모든 활동이 공식적으로 행해지지만 공공외교는 정부와 민간, 모두가 주체이며 동시에 대상이다. 둘의 공통점을 찾아보자면 둘 다 자국의 이익을 실현하려 노력한다는 점이다.

 

 

공공외교는 소련과 미국의 냉전 종식 이후에, 그리고 SNS 발달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두 국가 간의 냉전기간에는 모든 나라가 안보를 위주로 전통 외교를 진행했다. 냉전 종식 후에는 나라 간의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정치적 민주화가 활성화되면서 민간인 또한 외교의 주체가 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민간을 중심으로 한 외교의 중요성이 커지고 SNS의 발달로 정보의 민주화, 세계화가 이뤄지면서 공공외교가 활성화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공공외교는 북한과의 외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점점 심화되어가는 대북 제재 속 북한과 우리나라의 평화를 지킬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공공외교를 이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각 국가의 국민들 간의 지속적인 교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공외교는 위에서 말했듯이 정치와 경제의 민주화를 통해 발전했기 때문에 북한이 공산주의 국가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장에 우리나라와 북한 국민들 간의 교류는 어려울지 몰라도 앞으로의 미래, 조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