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규의 시사칼럼] 잊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하여

다시 4월, 다섯 번째 봄이다. 힘겹게 출범한 세월호 특조위는 정부의 방해 속에 1년여 만에 해체되었고, 2017년 말 사회적참사특별법이 제정되면서 2기 특조위가 출범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왜 세월호가 침몰했는지, 왜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왜 정부는 진실을 은폐하려 했는지,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이 발생한지 5년이 지났지만 우리에게 ‘진정한 봄’은 아직 찾아오지 않았다.

 

1년 전 조선일보는 <세월호 4주기,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라는 제목의 사설을 기재했다. “현 정권은 세월호를 사고 4년이 지난 지금도 붙들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세월호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좌파 운동가들에게 자리와 월급을 주기 위한 용도로 변질했다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각종 프레임을 동원해 유가족의 진상규명 요구와 이를 위한 모든 노력을 폄훼했다. 이들은 그 누구보다 세월호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당시 정부와 여당은 유족들에게 ‘순수’ 유가족을 운운하며 진짜 목적이 뭐냐고 추궁했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위를 정권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했다.

 

그 중 가장 부각되었던 것은 바로 세월호 유가족들의 보상금 문제였다. 2010년 천안함 사건, 1993년 서해훼리호 참사 때와 비교했을 때 세월호 참사의 피해 배상금은 결코 많은 금액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들 세력은 “시체 장사” “보상금 장사”라는 말들을 내뱉으며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주었다. 의도가 다분해 보이는 이들의 시도는 세월호의 순수한 추모마저 정치의 영역으로 끌고 갔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런 것들이 아니다. 세월호를 잊지 않으려 노력하는 이유는 바로 똑같은 일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공감’과 ‘안전’이라는 가치가 우리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것이다.

 

우리는 이웃의 아픔에 공감했고, 함께 눈물을 흘렸다. 정부의 무능에 분노했고, 거리에 나가 안전한 사회를 외쳤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다짐은 세월호로부터 시작되었다. 5년이 지나 우리의 가슴 한 켠 깊숙한 곳에 자리잡은 어제의 세월호는 내일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기억될까.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