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현의 드라마 칼럼2] 잊혀서는 안되는 우리 곁의 감정노동자

tvN 전국에서 제일 바쁜 지구대 '라이브'
서툴지만 치열한 삶의 기록!

보통의 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하는 경찰을 잘 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절대 그들의 노고를 다 알지 못한다. 강력계 형사가 아닌 지구대 경찰의 삶을 다룬 드라마 '라이브'. 이 드라마는 2018년 상반기에 방영됐다. 이미 종영한 지 1년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우리나라 경찰들에게는 적어도 평생 기억될 드라마라고 생각한다.

 

경찰이 되기 위해 노량진 학원가에서, 고시원에서.  졸음과 싸워가며 꿈을 위해 전쟁 같은 시간을 보내고 경찰이 된 청춘들이 시민의 가장 가까운 곳, 지구대에서 근무하며 청춘을 바치는 내용을담은 이 드라마는 노희경 작가의 작품이다.  드라마의 최우선 가치는 공감이라고 말하는 노희경 작가의 가치관처럼 이 드라마는 모든 시청자들의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냈다.

 

배우들의 연기 또한 드라마에 큰 영향을 끼쳤다. 배우 이광수는 예능에서 흔히 보았던 이미지가 아닌 염상수 그 자체였고, 배우 정유미는 '역시 정유미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새내기 경찰이 겪는 아픔과 사건들을 마주하며 느끼는 혼란스러움을 훌륭한 연기력으로 승화했다.

 

라이브는 잊혀서는 안되는 우리 곁의 감정 노동자인 지구대 경찰의 삶을 평범함 그 자체로 시청자들을 감동시켰다. 경찰로서는 그 누구보다 뜨겁게,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을 홍일 지구대 팀원들로 드라마화했다. 이 드라마처럼 현실적인 드라마들이 많이 연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현실적인 드라마들로 인해 위로를 받는다.

 

현실적인 드라마들은 현실에 대한 위로의 말들도 넘쳐나기 때문이다.

 

또한 라이브는 현장직 경찰이 무슨 일을 하는지, 어떠한 고초를 겪는지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경찰이 강력 사건을 해결하며 범인만 잡는다고 흔히들 생각하지만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데 굉장히 많은 시간들을 쏟는다. 드라마 라이브는 '인간' 그 자체의 드라마였다.

 

살인사건을 마주하고, 동료 경찰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면서도 경찰로서 중립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과 그로 인해 상처받은 마음을 사수와 부사수, 동기들, 가족들이 위로하고 보듬어주고 성장하는 모습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두드렸다.

 

 

미혼모의 딸로 태어나 미혼모인 엄마는 가장의 역할을 해야 했기에 항상 바빠서 방치될 수밖에 없었다. 학교 끝나고 집에 돌아오는 길 동급생 남학우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받는 사건을 당하고 말았다. 그래서 남자가 무시할 수 없고 여자도 차별 없이 승급이 가능한 경찰을 택한 한정오 순경, 다니던 회사에서 사기를 당해 사명감보다는 밥 먹고사는 게 더 급하다는 일념 하에 경찰을 선택한 염상수 순경 등 각자 저마다의 사정을 안고 홍일 지구대의 팀원이 된 순경들은 처음에는 철없는 이유들로 경찰이 됐지만 동료로서, 선배로서 담담히 위로를 건네고 후배들의 성장을 위해 채찍질도 마다하지 않는 훌륭한 선배 오양촌 경위와 이삼보 경위, 강남일 경사, 최명호 경장 등의 사수들을 만나 진짜 사명감이 무엇인지. 진짜 경찰이 무엇인지를 절실히 깨닫는다.

 

드라마는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춘들에게, 정년퇴직을 앞두고 말년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한 장년층들에게도 끊임없는 위로의 말들을 건넸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가시지 않는 여운과 먹먹함으로 시청자들에게 '웰메이드 드라마', '인생 드라마'라는 타이틀을 거머쥔 라이브는 앞으로도. 영원히. 지구대 경찰들에게, 시청자들에게 잊히지 않는 드라마, 잊혀서는 안되는 드라마로 남을 것이다.

 

               "너무 슬프지 않니? 피해자가 자기 걱정은 안 하고, 주변 사람, 시선을 걱정하는 게"

                                                                                           - 드라마 라이브 중

 

엄마를 위해서 가정 폭력에 침묵하는 자매, 성폭행을 당하고도 약혼자가 알까 봐 걱정하는 피해자. 한정오(배우 정유미 분) 순경의 대사는 피해자들이 자신보다는 타인의 시선을 걱정하는 사회의 현실을 돌아보게 만들었다.

 

 

                                   

 

                                      "치우치지 않고 진실된 칼럼니스트로서 분석하겠습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