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언의 시사/과학 칼럼] 최첨단 AI 기술 뒤에 숨겨진 노동의 가치

앞으로는 AI와 함께하는 시대라고 말한다. 현재도 많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이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AI 기술은 컴퓨터에 다양한 정보를 학습 시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동화된 시스템에 최첨단이라는 이름을 붙여 경외하듯이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정보에 대한 학습을 위한 원초적인 정보의 습득은 현재의 AI 기술로는 어려운 실정이다. AI는 원초적인 정보를 과연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노동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I가 접목된 로봇은 우리 생활에 많이 들어와 있으며 사람들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3원칙을 가지고 있다. 1942년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의 공상 과학 소설 '런어라운드(Runaround)'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로봇이 따라야 할 세 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가하거나, 혹은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둘째, 로봇은 첫 번째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인간이 내리는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셋째, 로봇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 선에서 로봇 자신의 존재를 보호해야 한다.1

 

이 중 두 번째 원칙에 대해 살펴보면 인간에게 수동적인 형태로 로봇이 작동해야 한다고 되어 있지만, 로봇이 스스로 움직이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AI의 딥러닝(Deep Learning)이 필요하다. 이 용어는 사물이나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군집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을 말하며 사람의 뇌가 사물을 구분하는 것처럼 컴퓨터가 사물을 분류하도록 훈련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일종이다.2 즉 우리가 원하는 AI 기술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훈련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데, 이때 필요한 원초적인 정보는 컴퓨터가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인간의 노동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딥페이크(Deepfake)라는 AI 기술은 특정 인물의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한 편집물을 말한다. 이를 악용하면 실제 사람의 모습을 AI 기술로 똑같은 사람을 만들어 내어 보이스피싱 같은 비주얼 피싱 사기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짜와 진짜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계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원초적인 정보를 컴퓨터가 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이 단순 노동으로 정보를 컴퓨터에 주입해야 한다. 1919년 베르사유 평화조약에 게재된 '노동에 관한 일반원칙'의 노동 헌장 9개의 원칙 중 ‘첫째, 노동이 단순한 화물 또는 상품으로만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있다. 아이러니하게 AI 기술 발달은 인간의 단순한 데이터 노동을 확장하고 있다.3

 

AI 기술 뒤에 숨겨진 인간 노동의 가치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며, 로봇의 3원칙처럼 인간을 위해, 인간을 위한 로봇으로 자리 잡을 때 AI 기술의 활용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사람들도 AI 기술에만 현혹되지 말고 인간의 가치를 생각하는 미래 기술에 중점을 두어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AI 시대를 맞이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 및 인용자료 출처

1.인용: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55XXXXX98226
2.참고: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d276
3.참고: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3n4272a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