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혁의 시사/과학 칼럼] 속도에 빠져버린 사회

토끼와 거북이,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이 우화는 초스피드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생각할 수 있는 점을 알려준다. 이 우화의 내용을 요약하면 빠른 속도를 지닌 토끼와 느린 거북이가 경주하게 된다. 경주가 시작된 후 토끼는 거북이가 한참 뒤진 것을 보고 방심하지만, 거북이는 묵묵히 인내심을 지니고 결승점까지 도달해 승리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더욱더 빠른 속도를 추구하고 있다.

 

 

우리 생활과 땔 수 없는 컴퓨터의 발달과정만 봐도 알 수 있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컴퓨터는 애니악이다. 정확한 계산을 목적으로 개발된 이 컴퓨터는 전쟁 중 개발되었다. 포탄의 궤적을 정확히 계산하며 훈련된 수학자보다 20만 배나 빠른 속도를 자랑하였다. 물론 그 시대에는 엄청난 속도였겠지만 현재 시대의 컴퓨터와 비교하면 그 효율성은 무척 떨어질 것이다. 애니악은 수식을 새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많은 시간을 투자함과 동시에 진공관의 연결선을 모조리 바꿔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의 발달은 이러한 애니악을 시작으로 이제는 주위의 흔히 사용하는 노트북까지  발전하며 기하급수적으로 빠른 정보처리 속도를 보여준다. 더 나아가 미래에서는 컴퓨터를 신체에 이식함으로써 정보처리속도가 뇌가 생각하는 시간만큼이나 빠르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러한 컴퓨터의 발달에 뒤질 새야 인터넷 속도 또한 1G에서 현대에는 5G라는 인터넷 속도와 대역폭이 기존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여준다.1

 

이렇게 우리는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빨라진 시대 안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한가지 질문을 던지고 싶다. 과연  빠른 것이 무조건 좋다고 말할 수 있을까? 분명 누군가는 빨라진 사회를 누리면서 개개인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빠른 사회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고 많은 유익을 준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얻는 점도 많지만 그만큼 잃어버리는 것도 많다. 참을성, 기다림의 미학, 여유 등이 그 예시이다.

 

한번 사소하게라도 우리 주변을 보자. 만약 스마트폰을 사용하던 중 조금이라도 느려지면 금방 답답해하고 짜증을 내는 모습을 우리는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세계적인 인터넷 속도를 자랑하는 IT 강국인 한국인데도 말이다. 이처럼 우리는 빠른 속도에 익숙해져 인내와 여유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간혹 일이 복잡할 때 급히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조금만 기다리고 참으면 되는 일인데도 말이다. 우리는 한 발자국 떨어져서 인내를 가지고 천천히 해결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독자들도 그러한지 한번 생각해봐라. 우리는 너무나 빨라지는 사회에 쉽게 익숙해지지 말고 인내와 여유를 지니며 살아야 한다.

 

참고 및 인용자료 출처

1.참고 : https://www.scienceall.com/에니악-세계-최초-컴퓨터의-등장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