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드림의 사회학 칼럼] 인공지능과 사회학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도래하는 요즘,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분야가 늘어나고 있고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인공지능이 인류의 존속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필자도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인류의 한 개인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우리의 생활 속에서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궁금증을 해소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인공지능과 사회학을 엮어 칼럼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자료조사 과정을 거쳐 본 칼럼을 작성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소개할 인공지능 활용 사례는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이다.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는 이용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관심 있어 할 정보를 우선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이용자 특성 파악 과정’에는 인공지능이 활용된다. 넷플릭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넷플릭스는 전문 인력을 동원하여 각각의 콘텐츠의 특성을 나타내는 태그를 단 후 여러 알고리즘을 혼합해 정확도를 높인 자체 제작 블렌딩 알고리즘을 탑재한 인공지능을 통해 이용자가 콘텐츠를 관람할 때마다 그 콘텐츠에 붙어있던 태그와 영상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이용자가 어떤 특성을 보인 콘텐츠를 좋아하는지 분석한다.1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은 어떤 콘텐츠를 시청했을 때 이용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을지 알아내고 결과적으로 그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추천하여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시간을 늘리고 만족도를 높인다.

 

해당 사례에 사용된 수학적 개념은 ‘베이즈 정리’이다.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과 연관된 공식으로 사전 확률을 바탕으로 사후 확률을 구할 때 사용되는데 방금 소개한 넷플릭스의 이용자 특성 분석 과정에서 사용된 블랜딩 알고리즘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이 베이즈 정리를 응용한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나이브라는 영어단어는 ‘단순한’이라는 뜻이고 이 알고리즘은 사전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들의 영향력이 모두 동등하다고 단순하게 가정한 뒤 베이즈 정리를 통해 사후 확률을 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2 찌 보면 비논리적으로 보이는 ‘나이브’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 알고리즘은 상황에 따라선 딥러닝을 이용한 최신 알고리즘보다 정확도가 높을 정도로 정교하다. 

 

이런 원리로 작동되는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에는 문제점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의 방식으로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가 계속 제공된다면 기업의 단기적 이익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론 이용자들의 확증 편향을 증폭시키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강화하여 사회 통합을 저해하리라 생각한다. 특히 SNS에서의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는 이용자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뉴스만을 보게 하는 원인이 되고 이는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들 사람들끼리의 ‘필터 버블’(인터넷 정보 제공자가 이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선별된 정보에 둘러싸이게 되는 현상)3을 형성하여 각각의 버블 안의 사람들이 우물 속 개구리가 되는, 즉, 각 집단이 단편적 정보를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어 집단 간 갈등이 심화하는 결말을 맞게 되리라 생각한다. 요즘에 이슈가 되는 성별 간의 갈등은 내 생각을 반증한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소개할 사례는 ‘구글 트렌드’ 이다. 구글 트렌드는 구글 검색어와 시청 동영상을 바탕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이다. 구글 트렌드를 이용하면 특정 키워드의 검색량을 지역과 시간에 따라 나누어서 볼 수 있고 연관 주제와 검색어도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측면에서 인공지능이 사용된 이 서비스에서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사회학(검색어), 사회학(학문 분야) 같이 맥락에 따라 키워드를 구분하여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이 기능엔 기계학습을 통해 키워드가 쓰인 전후 상황과 키워드가 속한 글의 주제를 인공지능에 학습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사회학(학문 분야)을 선택하면 언어에 상관없이 사회학이란 학문에 대한 전 세계의 검색량, 연관 주제,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게 하는 원리가 담겨 있다.

 

사회과학 연구원들에게 구글 트렌드는 매우 고마운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알고 사회구성원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사회 조사의 기초라 할 수 있는데 구글 트렌드는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의 여론과 구성원들의 생각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는 사회조사 활동을 수행할 때에도 큰 도움이 된다. 사회의 동향이 모든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것도 정보의 평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때 다수의 관심사와 생각에 대한 정보에 집중하여 소수의 생각과 의견에 귀 기울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구글 트렌드를 이용하는 사람은 다수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한 인간의 본성을 자각하고 다수의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자기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지속적인 성찰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각주

1.(인용: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425732&memberNo=41516152&vType=VERTICAL)
2.(인용:https://blog.naver.com/rickman2/221339794308)
3.(인용: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1012&cid=59088&categoryId=59096)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