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채희의 식품 칼럼] 점점 줄어드는 식량, 점점 늘어가는 문제들

코로나로 인해 수입, 수출과 같은 무역들이 크게 줄어들었고, 지역과 국가 간의 이동이 제한되었다.  생산활동이 줄어들다 보니 코로나 이전의 시대보다 쓰레기의 배출량은 늘고 식량 생산량은 줄어들게 되면서 빈민층과 사회 취약계층이 살아가기에 너무나도 힘든 세상이 되었다. 이를 통해 세계 기아의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식량 시스템과 식량 생산 방법에도 적신호가 걸렸다. 

 

 

이번 추석에만 해도 맛살 대란이 있었다. 전국적으로 추석으로 인해 전을 부쳐 먹거나 제사를 올리기 위한 차례상 위에 올릴 식재료로 맛살을 구매하다 보니 전체 보급량이 수요량을 따라가지못하고 전국적으로 동난 사건이다.  물론 맛살 공장 직원들의 코로나 확진으로 인해 생산된 많은 양의 맛살을 폐기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겠지만, 이를 통해 우리는 식량 유통 시스템의 중요성과 현재의 식량 불안에 대해 고민해보고 문제점을 야기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일단 보통의 시민들은 자체적인 식량 생산이 너무나도 제한적이다. 자신의 집 앞 마당이나 발코니에 위치한 베란다에서 구매한 씨앗과 흙으로 식량이라고 하기에도 조그마한 체험을 명목으로 한, 한 손바닥 정도의 채소나 과일을 수확해보는 것이 전부다.  예전에는 시골에 내려가 일손을 돕거나 주말농장에 참여하여 자신만의 밭을 일구어 나가고 생산활동에 직접 뛰어들어보는 과정이 가능해졌지만,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와 많은 점포의 폐업으로 이조차 불가능해졌다.  또한,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들은 갖고 있던 일자리마저 줄어들어 자신의 식량은 고사하고, 하루를 살아가기도 힘든 상황이며 코로나 상황에 필수로 착용해야 하는 마스크를 구매하기도 벅차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이를 위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시범사업들이 있다. 농식품 바우처,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공급, 초등돌봄교실 과일 간식 지원 사업 등인데, 특히 농식품 바우처는 올해 하반기에 본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내년에 실시하는 등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어 굉장한 기대가 몰리고 있다.1(인용)

 


집에 있는 식재료들만 생각해봐도 모두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 온 완제품이나 간편 조리 식품이 반을 차지한다. 이렇게 많은 완전 조리 식품이 집에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배달 서비스를 사용하여 음식을 시켜 먹는다.  하나의 식재료 제작 공장이나  조그만한 시스템만 오류가 나도 전체적인, 전국적인 유통 시스템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 지금의 식량 불안을 일으켰다고 생각한다. 한 곳에는 식량이 하루하루 부족하고, 한 곳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식품 포장과 배달 용기 처리 때문에 고통받고 있는 현실이 도래했다. 식(食)을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돈이 필요한 지금, 우리는 이 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간 지점을 찾아 적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각주

1.인용: http://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8051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