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진의 사회 칼럼] 장미와 물 부족 현상의 상관 관계

얼마 전, 5월이 되고 장미가 많이 피기 시작하자 애버랜드와 같은 놀이공원이나 일반 공원에서 장미 축제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장미가 활짝 펴서 다른 자연물들과 어울리는 모습은 말로 다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울 것이다. 분명 장미도 수백 송이, 수천 송이 아름답게 필 것이다. 그러나 장미를 하나 피우는 데에는 정말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들은 적이 있다. 우리의 생활에 물이 이렇게 과소비되어가고 있고 물의 과소비를 줄이도록 노력하자는 말을 전하기 위해 칼럼을 쓰게 되었다.

 

 

장미 한 송이를 피우는데 들어가는 물의 양은 자그마치 10L 정도이다.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장미 한 송이에 그렇게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공원에서의 장미 축제를 생각해보자. 장미 축제에서 장미를 1000송이 사용하였다고 하면 물은 장미를 피우는 데만 10,000L가 사용된 것이고, 장미를 5,000송이 사용하였다고 물은 장미를 피우는 데만 50,000L가 사용된 것이다. 또한 장미 축제에선 장미를 피우는 것 외에도 여러 곳에서 물이 쓰인다. 우리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한 달 동안 그저 즐기는 용도로 물을 과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길게 물 부족 현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장미뿐만 아니라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형태로 물을 소비하고 있다. 물을 마실 때, 음식을 만들 때, 씻을 때, 옷이나 학용품 등을 만들 때도 항상 물이 필요하다. 우리가 물건들을 아까운 줄 모르고 낭비할 때조차 우리는 물을 과소비하는 것이다. 지금은 물을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어 물이 풍족하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이렇게 물을 과소비한다면 지구에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점점 줄어들게 될 것이다. 물 부족 현상이 현재 점점 심해지며 2050년에는 50억 명 이상이 물 부족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고 한다.1

 

물 부족 현상의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상대적으로 가난한 나라에서 먼저 진행된다는 점이다. 유럽이나 선진국들은 물과 자원 등이 필요한 물품을 생산할 때 주로 후진국들에 공장을 건설하는데 이 점이 그 국가들의 물 부족 현상을 더욱 빠르게 악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진국의 물 부족은 다른 선진국보다 위험할 수 있다. 사람들이 물을 적게 사용하게 된다면 직접적으로 생계에 위협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물을 과소비하는 것을 줄이고 물 부족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까? 보통 물을 과소비하는 것을 막을 방법을 생각하자고 한다면 물을 마시는 것을 줄이거나 샤워 시간을 줄인다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방안을 현실적으로 오래 지속되지 못할뿐더러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우리는 그저 꼭 필요한 물품만 사고 낭비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과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 우리의 미래, 우리의 후손들을 위해서라도 처음은 어려울 수 있겠지만 조금씩 노력해 보는 것이 어떨까? 분명 우리가 노력한 만큼의 결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및 인용자료 출처

 

1 : 인용 - [날씨학개론] 인류 옥좨오는 '물 부족'…실태와 대처 방안은? (ytn.co.kr)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