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민의 독서 칼럼] 갓파와 아카타가와 류노스케 사이

작품으로 작가는 말한다. '갓파'를 읽고

일본에는 유독 자살을 선택해 생을 마감하는 작가들이 많은 것 같다. ‘금각사’의 미시마 유키오(1925~1970), 일본인으로 처음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와바타 야스나리(1899~1972), 아쿠타가와 류노스케(1892~1927), 다자이 오사무(1909~1948) 등이 그 예이다.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는 이런 죽음의 원인에 대해 그들의 수치심을 못 참고 자신을 냉혹하게 처벌하는 고유의 특성 때문이라고 말했다.1( worldallstory.tistory.com ‘기묘한 스토리 지독한 일본의 자살 숭배 문화’ 인용). 그러나 일본인들의 특성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보인다. 즉, 작가들 자신 스토리를 간과할 수 없다. 스스로 삶을 마감한 몇몇 작가들의 삶을 보자면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세상에 태어나 믿을 사람은 부모가 전부일 것인데 그렇지 못한 환경으로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겠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그들에게 삶은 혼자서 살아내야 할 무거운 과제였을 것 같다. 조건 없이 기댈 수 있는 누구가 있다는 건 힘을 얻게 하는 데 그것을 경험할 수 없었던 그들에게 삶은 공허하고 버겁게 느껴졌을 것이다.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삶이 대표적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도쿄대학을 나온 지성 작가로서 35세에 짧은 삶을 살았다. 그의 작품들은 부조리와 불안, 공포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들로 가득하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 속에 있자면 이러한 우울감과 불안감, 고독감이 그대로 전이되어 진하게 느낄 수 있다. 작품마다 느껴지는 묘한 느낌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경험한 혼란스러운 정서의 표출일 것이다.

 

태어나 얼마 안 되어 미친 사람이 된 어머니로부터 받은 충격과 정신병 유전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 삶이 위태롭게 느껴졌을지 모른다.2 어린 나이에 ‘나를 어떻게 볼까’하고 눈치를 보며 더욱 단정하려고 애쓰며 자랐을 아쿠타가와의 ‘불안’은 결국 어머니와 관련된 출생에서 비롯된 정서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정서로 그의 작품들의 독특한 분위기가 이것에 뿌리를 둔다.

 

늘 어머니의 사랑을 애타게 갈망하였으며 그 사랑을 영원히 얻을 수 없었던 아쿠타가와에게 뼛속까지 젖어있는 고독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부모의 민감한 반응은 아동의 심리적 발달을 지휘하는 데 큰 몫을 할 뿐만 아니라 자녀가 자라서 일생 사용할 감정에도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3 그러나 그는 부모, 특히 어머니가 일찍 분리되어 긍정적인 정서 경험을 할 수 없었다. 여기에 언젠가 자신도 어머니에게 유전되어 미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위태했다. 그래서인지 먼저 읽은 그의 작품들에서 삶에서 경험하는 감동이나 긍정적인 장면을 찾기 어려웠다. 대부분 기괴한 사건이 중심이 되어 쓸쓸하고 측은한 등의 암울한 모습을 담겨있다. 실제 ‘갓파’에서 기이한 동물이나 ‘지옥변’의 지옥, ‘라쇼몬’의 어둑어둑한 해가 저문 날의 회색빛 검은 구름 등 그 배경만으로 불안, 권태, 공포 등은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한다.

 

 

얼마 전 읽은 갓파는 정신병원에서 만난 미치광이에 대한 이야기로 역시 작가의 독특한 분위기를 감상하기 충분했다. ‘갓파’란 일본에 오래전부터 전해지는 전설상의 괴물로 동물 같은 형상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기괴하다. 어느 날 미치광이는 어떤 구덩이에 빠져 갓파의 세계로 들어간다. 여기서 미치광이는 정신병원 환자라는 것 외에 어떠한 인생을 살았는지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갓파국에 정착한 그는 시인, 철학자, 예술가, 학생, 종교인 등의 문화계와 의사, 기업가, 재판관 등 사회의 상층부, 그리고 어부와 절도범 등의 수많은 갓파를 만나며 그들의 철학, 종교, 삶, 죽음 등 많은 부분에 관해 이야기한다. 그 과정에서 그는 인간사회와 비교하며 출생과 연애, 예술, 노동문제, 사회와 정치, 전쟁, 종교 등과 관련한 부조리와 모순을 지적한다. 여기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정신을 짐작할 수 있었다. 특히, 갓파의 출산에 대한 이야기로 출산 전, 아버지 갓파가 엄마 배 속에 있는 아기 갓파에게 세상에 나올 의사를 묻고 아기 갓파가 원하지 않으면 그 속에서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작가 자신의 생각을 기발한 발상으로 드러냈다고 생각한다. 다. 또한, 마지막에서 미치광이가 미친 것인지 아니면 세상이 미친 것인지 헷갈리는 장면은 혼란스러운 작가의 모습을 담아낸 것으로 생각한다.

 

책을 덮은 뒤, ‘어쩌면 갓파가 또 다른 작가 자신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자기와 분리하여 갓파로서 인간에 대한 모순과 혐오감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즉, 인간으로서 자기를 부정하고 분열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을 그대로 인정하는 데 실패하고 자기분열에 의해 혼란스러움이 잠재된 어머니의 유전에 대한 두려움과 더해져 고통스럽게 살았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결국 그는 35살이란 젊은 나이에 1927년 7월 24일 자기 삶을 스스로 마감했다.4

 

아쿠타가와의 삶, 그의 작품들은 아쿠타가와의 정신 생각과 마음을 표현한 그림 같아 보인다. ‘아쿠타가와의 오래된 암울한 정서가 그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창조하는데 그 역할을 다했다’는 생각을 했다. 다만, 작가의 불안한 삶으로 우리들이 문학적으로 신세계를 만나게 되는 혜택을 받는데, 잠시 마음이 불편했다. 더불어 그의 삶을 바라보며 또다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또 다른 삶의 방향을 반론할 필요를 느끼는 건 아마도 보다 나은 방향이 있을 거라는 긍정적인 마음이 내 안에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 본다.

 

1. 인용:  worldallstory.tistory.com ‘기묘한 스토리 지독한 일본의 자살 숭배 문화’.

2. 참고:  '라쇼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단편선 p. 291~292 민음사.

3. 인용:  '아쿠타가와 작품에 나타난 정신의 풍경' 손순옥  중앙대학교 2008. 

4. 참고:  '라쇼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단편선 p. 308 민음사.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