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주안의 독서 칼럼] 단 하나 밖에 없는 고유명사, 너, 나, 우리

알로화, 나의 엄마들 을 읽고

이번 도서는 ‘알로 하 나의 엄마들’ 이다. 여기서 잠깐, 상상해보자. 발달이 되지 않은 시대에 정확히 어디인지도 로고, 그곳 언어도 모로고, 아는 사람이 없는 곳에 나 혼자 간다고 생각하면 어떤가. 떨리고 긴장되고 걱정이 많이?될 것이다. 그런데 이 주인공 버들 이도 일제강점기 시대에 하와이라는 낯선 땅에 발을 딛는 이야기이다. 낯선 땅에서 세 친구 버들이, 홍주, 송화는 서로 보듬어 주며 삶을 꾸려 나가는 이야기이다.

 

버들이라는 아이가 있다.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동생들과 가난하게 살던 중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중매쟁이가 ‘사진결혼’을 제시한다. 사진결혼은 조선 청년들이 하와이에 가서 성공하고 장가들기 위해 사진을 보내

색시를 구하는 것이다. 버들 이는 처음에 마음이 안 끌렸지만, 하와이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말에 혹해서 그 제안에 응한다. 옆집 단짝 친구인 과부 홍주도 버들 이를 보고 사진결혼을 하기로 한다.

 

 

하와이로 가는 길에 송화라는 아버지를 모르는 점쟁이의 아이를 만났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버들의 신랑 외에는 다 말한 나이보다 2배가 넘었던 것이다. 버들의 신랑 외에는 다 나이가 늙었음에도 속여서 사기 결혼을 한 것이다. 오직 태완(버들의 신랑)만 나이를 속이지 않았지만, 도무지 태완는 버들에 관심도 주지 않는다. 그러다가 태완과 버들은 속마음을 나누게 되면서 서로 잘 지내고 임신도 하여서 아이를 낳는다. 그러나 태완는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가고 버들은 첫째와 둘째를 임신 중인 상태에서 홀로 남겨지게 된다. 그러다가 홍주는 남편이 자기를 버리고 조선에 있는 본처에게 갔고 송화는 남편이 죽으면서 다들 홀로 남겨지게 된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이 세트는 누구보다도 서로 생각하고 보듬는 서로의 엄마들이 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제목이 이해가 됐다. 서로 챙겨주고 보듬어주는 서로의 엄마가 돼 준 것이다. 낯선 환경에서 힘든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 함께 하기에 이길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 일제강점기 시대, 힘들고 힘들었던 그 시대에 서로 보듬어 주고 낯선 환경에서 서로 보듬어 줄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은 엄청난 복이었을 것이다. ‘함께’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공동체라는 것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 알 수 있는 책이었다. 서로 이해하고 얘기할 때 서로 함께 할 수 있다. 어떨 때는 너무나 당연하지만 사실 어렵거나 힘들 때 그 누구보다 소중한 것은 내 곁에 있는 사람들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서로 알아가고 서로 같이 지내는 사회를 살아간다. 이 사회에서 우리는 서로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은 개인주의 사회이다. 너보다 나인, 시대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나보다 너인, 사회를? 살아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서로 위로해 주고, 같이 웃고, 같이 울고, 때론 싸우면서 이 사회를 살아간다. 이 사회를 살아가면서 '우리'라는 것은 어떨 때 보면 당연해 보이지만, 어떨 때 보면 무엇보다 소중하다. 이 세상에 우리가 서로 알고 있는 '우리'는 세상에 단 한 명밖에 없으며 처음이자 끝이다. 다시는 존재 하지 않는 것이다. 이 세상에 우리가 알고 있는 너, 나, 우리는 단 한 명 밖에 없다.? 한 마디로 고유 명사라고 할 수 있다. 함께 살아가며 다시 없을 너, 나, 우리를 우리는 서로 사랑하고 보듬어 주며 서로의 엄마가 돼주어야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