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준의 사회 칼럼] 입시의 계절

언제나 선배님이 옳습니다

 

 

입시의 계절입니다. 선배님들 잘 준비하셨을까요? 입시가 무언지 경쟁은 무언지 나름의 꿈을 꾸며 순수하게 살아온 필자는 입시의 현실을 알아가며 현타 라는 현실적 충격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시기적으로 온갖 설명회 들과 주변의 어른들의 말씀들로도 충분히 혼란스러운데 나의 미래를 계획해 보고 실행하는 것은 가히 복잡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우리의 인생에 노력이 등급으로 나누어지고 친한 친구와의 관계조차도 마냥 편하기만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었습니다.

 

이렇게 혼란 으로 만 있을 수는 당연히 없지요. 내가 바라는 미래, 내가 원하는 나의 삶, 아무리 지치고 버거울지라도 절대로 멈추거나 약해질 수 없습니다. 이 사회에 역량 있는 사람, 나로 의해 변화될 수 있는 사회, 이 사회에 도움이 되고 싶은 나이기 때문입니다. 칼럼니스트로 활동을 선택할 때에도 저는 작지만 힘이 되는 글을 쓰고 싶었습니다. 전문가도 아니고 글 솜씨가 대단하지 않더라도 나의 시도와 도전은 나를 역량 있는 사람으로 이끌어 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필자의 장래희망은 과학 분야입니다. 동물과 생명, 미생물, 건강, 지구를 위한 과학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이과, 과학 분야를 꿈꾸는 제가 칼럼을 쓴다 하니 주변이 의아해 합니다. 수 과학 활동에 더 신경 써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들이지요. 편견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왜 과학 분야, 이과를 좋아하는 사람은 글을 쓰면 안 되나요?  부자연스럽고 글이 딱딱할까요? 제가 아는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 그리고 스승님들은 오히려 글을 더 섬세하고 전달력 있게 쓰십니다. 저는 그 분들의 글들이 읽기도 부드럽고 편안하답니다.

 

이처럼 우리 사회의 입시는 바로 편견은 아닐는지요. 언어를 좋아하고 책을 좋아하면 문과 수학과 과학을 집중하면 이과라는  편견의 사회가 만들어 낸 결과는 아닌지 필자는 나름의 괴로운 시기를 보내고 있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미디어 경청의 많은 글들과 뉴스를 보면서 깨달음과 뉘우침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이유는 다양한 글들과 표현, 강한 전달력 들이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복잡하게, 또는 사회적 부분과 현실을 집중하며 나를 계획하기보다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나를 확인해 보고 도전하는 나를 또 바라보며 우리 조금 차분하게 미래에 솔직해 볼 이유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확신이 생긴 것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도전하고 용기 있는 경기도의 칼럼니스트였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는 있습니다. 아직 입시 신입생이라 그렇다고 말하는 선배님들도 계시겠지요. 그래도 깊게 나를 찾고 싶습니다. 그래야 진정 역량 있는 미래의 사회에 내가 되지 않을까요?

 

모든 선배님들 바라는 입시의 결과 모두 이루시고 꿈 있는 후배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바른길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혹여 바라는 결과가 아닐지라도 포기는 모르는 우리가 돼야 합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