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의 패션 칼럼] 음악이 없다면 패션도 없다

 

 

 

당신의 록 음악을 좋아하는가? 록 음악은 지금 대중음악 시장과는 멀어 졌지만 200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대중음악 시장의 대부분은 록 음악이 꿰뚫고 있었다. 그렇기에 록 밴드들의 인기는 정말 대단했다. 

 

이러한 록밴드는 음악 시장뿐만 아니라 다방면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그중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것은 패션일 것이다. 록 스타들은 10대들의 동경의 대상이 되고 10대들은 자신에 동경의 대상인 록스타들의 복장을 따라 하며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 갔다. 그 과정 속에서 여러 스타일의 복장이 탄생하였으며 복장문화에 지대한 변화를 안겨 준다. 또한, 전설적인 패션 디자이너 마틴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는 지금의 모든 옷은 록밴드에서 나왔다고 말하며 락 밴드가 패션에 끼친 영향력을 설명한다. 이러한 록 밴드들은 자신들의 영향력을 토대로 순회공연을 하거나 앨범과 함께 포장되는 굿즈로 티셔츠를 판매하였는데 이러한 티셔츠의 그래픽 들 또한 현대 티셔츠의 그래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번 칼럼은 시대별 스타일 아이콘과 그 아이콘에 따라 변화한 패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1950년대 의 스타일 아이콘은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이다. 앨비스 프레슬리는 청바지를 대중화시킨 장본인 이기도 하며 그의 헤어스타일은 현재도 록 스타 하면 가장 먼저 떠 오르는 이미지이다. 그는 웨스턴 스타일의 가죽 재킷을 즐겨 입었고 리바이스 청바지를 즐겨 입었었다. 또한 구레나룻을 기르고 앞머리를 올린 헤어 스타일을 유행시켰다.

 

1960년대의 스타일 아이콘은 비틀즈(beatles) 이다. 비틀즈는 음악 역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밴드로 거론 될 정도로 음악에 큰 발자취를 남긴 밴드이다. 그렇기에 이들을 동경하는 사람들 또한 넘쳐났었고 너도나도 할 것 없이 그들의 스타일을 따라 했고 그들의 스타일인 모즈룩이 유행하였다. 모즈룩의 특징으로는 첼시 부츠 같은 아이템이나 동그란 안경 같은 아이템에 바가지 머리를 하고 조금은 개방적인 슈트를 입는 것 이다.

 

1970년대의 스타일 아이콘은 섹스피스톨즈(sex pistols) 이다. 섹스피스톨즈 는 펑크라는 개념을 완벽하게 정의 한 밴드로 펑크 하면 생각나는 이미지를 만들어낸 밴드이다. 대중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받았었으며 그로 인하여 그들의 패션 또한 유행하게 된다. 그들의 레더 재킷에 박힌 스터드와 찢어진 청바지,플란넬 셔츠와 찢어진 티셔츠는 펑크스타일의 아이콘이 되었다.

 

1980년대의 스타일 아이콘은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이다. 마이클 잭슨은 엄연히 따지고 보면 록스타가 아닌 팝스타이지만 그의 행보는 록스타와 다름없었다. 그의 캐주얼 하며 그만의 감각이 묻어나는 그의 룩은 80년대의 아이콘으로 캐주얼하며 프레피룩 스러운 분위기를 가졌으며 화려한 컬러의 룩으로 80년대의 모습을 대변한다.

 

1990년대의 스타일 아이콘은 커트 코베인(kurt cobain) 이다. 커트 코베인은 패션과 음악 두 가지로 세상에 엄청난 충격을 준 아티스트이다. 당시 커트 코베인이 리더로 있던 밴드 너바나는 무분별한 헤비메탈 밴드의 양산형 음악의 종결을 가져왔고 그런지록 이라는 장르를 개척하며 음악 시장에 거대한 파동을 일으켰다. 그의 엄청난 커리어와 같이 그의 패션 감각 또한 뛰어났다. 그는 주로 찢어진 청바지에 손상이 많이 간 낡은 티셔츠와 어디서 구매한 지 모를 낡은 모헤어 니트를 주로 입었으며 그의 독보적인 패션은 그런지 룩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었다. 이러한 커트 코베인의 그런지 룩은 생로랑(saint laurent), 넘버나인(number nine) 등등 여러 패션 브랜드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1990년대 를 주름잡은 커트 코베인의 죽음 이후 록음악은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 가기 시작한다. 또한, 1990년대 이후 2000년대 린킨 파크(linkin park) 라는 밴드의 성공 이후 록은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 버렸다. 대신 음악 시장에 힙합이 들어오기 시작하였으며  여럿 래퍼 들이 패션 아이콘이 되었고 현재의 트랜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현재 트랜드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래퍼는 예(ye)로 발렌시아가(balenciaga) 와 함께 독보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현재 여러 명품 브랜드들은 팝스타, 랩 스타, 록스타들을 모델 혹은 브랜드의 엠버서더 로 임명하며 음악 시장과 패션 시장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은 젊은이들의 우상인 스타를 앞세운 마케팅 방법이며 mz 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이다.? 이렇게 여러 명품?브랜드들이 mz 세대를 겨냥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이제는 명품의 주 소비층이 지갑이 넉넉한 중장년층이 아닌 젊은 소비층으로 소비층의 나이가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앞서 말한 래퍼 예(ye)의 경우도 젊은 세대가 열광하는 아티스트로 발렌시아가(balenciaga)와 예(ye)의 콜라보레이션도 하나의 마케팅으로 볼 수 있다. 명품 브랜드들이 이러한 전략을 취하는 것은 음악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사회적인 영향력을 만든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그렇기에 이미지가 중요한 패션 산업이 큰 영향력을 가진 음악 산업을 놓치지 못하는 이유일 것 이다.

 

음악 시장에서 스타들은 단지 음악을 하는 것을 뛰어넘어 스타일 아이콘으로써 다방면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스타들을 동경한 10대들이 그들만의 서브컬쳐 즉 하위문화를 만들어가며 문화에 발전에 이바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들이 동경하는 스타들의 옷을 따라 입음으로 스타에 대한 동경과 같은 스타를 좋아한다는 소속감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흐름은 자연스럽게 문화를 만들게 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똑같이 스타들을 사랑하며 자란 패션 디자이너들이 그들의 문화와 스타의 스타일에 영감을 받아 음악 시장과 패션 시장에 발전을 야기하고 그 둘이 때어 놀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뒷받침한다. 만약 당신 또한 좋아하는 스타가 있다면 그 스타의 스타일을 참고하여 옷을 입어 보는 것은 어떠한가? 같은 스타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스타일을 만들 수 도 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