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은빈의 시사 칼럼] 중국 엑소더스

 

 

코로나19가 잠잠해진 것처럼 보였으나 곧 재유행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하여 기사를 찾아보았다.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19와 함께 생활하는 방식으로 흘러가는 가운데,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눈에 띄었다. 많은 전문가들이 비판한 이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중국의 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로코로나란,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봉쇄 조치를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정책을 뜻한다. 인터넷에 '제로 코로나'라고 검색하면 관련 검색어로 중국이 뜰 만큼 중국이 고수하고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중국은 내외국민의 입출국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어디서든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광범위한 봉쇄 조치를 단행하는 정책을 유지해왔다. 강력한 방역 정책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롯데·아모레퍼시픽·삼성디스플레이·LG전자 등의 한국 기업들이 대규모 중국 시장 이탈을 예고하였다.1 

 

나 역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당장 우리나라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주변국은 위드 코로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찬반 논란 끝에 작년 말에 실시된 이후로 문제도 많았지만, 경제를 회복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로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자주 언급되는 중국과는 대조적이다. 물론 중국이 당장 위드 코로나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줄이려면 방역 통제를 완화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생각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이 정책이 계속됐을 때 한국에까지 미칠 악영향 때문이다. 공장이 중국에 위치한 기업들도 많고 주요 소재와 부품의 경우 대중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실제로 농심, 오리온,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등은 이미 3월 말~4월 초부터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여서 피해가 더 커질까 우려하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라면 공장을 열흘 넘게 완전히 셧다운한 상태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2  

 

이미 현지 생산과 부품 수급에 난항을 겪는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할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았다. 무역분쟁의 과정에서 한 국가가 수출규제를 시행할 때 상대국가는 국산화와 수입처의 다변화를 통해 경제적으로 대응한다. 이번 사태를 분쟁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비슷한 해결방안으로 공급망을 넓히면 되지 않을까? 즉 수입처의 다변화 대신 수출처의 다변화를 꾀하는 것이다. 제로 코로나를 시행하고 있지 않은 지역에서 생산 혹은 판매한다면 중국을 선택했을 때만큼의 이익이 생기지는 않겠지만,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줄이고 심한 타격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생각하기 전에 중국이 마음을 바꿨으면 좋겠지만, 만약 제로 코로나를 고수한다면 한국에서는 실제로 어떤 대응을 할지 궁금하다.

 

각주

1. 인용:https://www.news1.kr/articles/?4707086

2.인용: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16406632295136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