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재민의 시사 칼럼] 최근 급증한 공유 전동킥보드, 안전할까

최근 필자의 동네에 초록색의 공유 전동 킥보드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했다. 중심가로 나가면 10m 마다 한 대 씩 존재한다고 과언이 아니다. 전동킥보드에 관심이 없던 사람이었던 나조차 이러한 킥보드들이 시야에 계속해서 노출되니 인지하기 시작했다. 생각보다 주변 친구들을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였다. 사용량과 공급이 급증하다 보니 주행되는 장면들도 많이 포착되었다. 중요한건 소리없이 뒤에서 다가오다 보니 미쳐 발견하지 못하고 보행중에 충돌할 뻔한 적도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이용하는 연령층이 어렸고 운전에 미숙해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이런 킥보드가 많아진 이유가 뭐였을까? 이는 공유경제에 시작점이라고 하는데 의문점이 들어 글을 써보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 앞으로 필자와 나이가 비슷한 세대를 포함해 알파 세대가 마주할 미래 사회에 접어드는 과정 중 로봇, 사물인터넷, 3D 프린터, 빅데이터 등 새로운 신기술들의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런 기술들과 연결된 새로운 시장형태가 등장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것이 바로 공유경제이다. 여러 사람들과 물자를 공유하면서 사용하는 소비형태를 말하는데 공유킥보드가 바로 공유경제라고 주장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있던 대여 서비스를 휴대폰에 옮긴 것이 과연 공유경제일지 의문이다. 그저 막대한 자본이 투자된 일종의 새로운 교통수단에 지나치지 않을 정도라고 생각한다. 물론 버스나 택시같이 배기가스를 배출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교통체증을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 이동수단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공유경제라는 가면아래 무책임한 회사들의 행동에 평범한 사람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해보아야 한다. 최근들어 뉴스에서 전동킥보드 관련 사건사고들을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부분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았으며 심각한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하게 된 사건들이다. 실제로 길을 걸어갈 때 전동킥보드 운전자들 중 십중팔구는 안전모와 같은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았다. 게다가 보행자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며 청소년들의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운전면허가 필요한 원동기였던 전동킥보드는 다가올 12월 10일 법이 바뀌면서 자전거와 같은 취급을 받게 된다. 운전면허가 필요해 중학생이나 초등학생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았던 이 서비스가 더 어린 나이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 전동킥보드를 많이 접해보지 못했던 어린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을 에게 이러한 서비스들은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사항이다. 하지만, 서비스의 확대에 알맞게 사회 스스로 적절한 규제와 안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얼마나 더 많은 사고가 일어나야, 얼마나 더 많은 희생이 발생해야 제대로 된 킥보드 문화가 갖춰질까? 우리라도 먼저 이에 경각심을 가지고 변화를 촉구해야 할 때가 아닐까?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