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광현의 역사 칼럼] 동양 최고의 예술작품 한국의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한국의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국보 제83호로  정확히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인지는 모르지만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많은 주목을 받는다.

 

이 불상이 특히 주목 받는 이유는 자연스러운 자세와 섬세함 때문이다. 동상의 표면은 5mm 밖에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과 발가락 관절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생생하게 표현이 되었는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손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 알 수 있다. 사실 고대 유럽이나 아프리카에 많은 유명 석상과 조각상들이 존재해,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손기술이나 제조부문에 있어서 발달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는데, 삼국시대부터 제조 기술이 발달했었고, 섬세한 표현이 가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놀라웠다. 

 

반가사유상의 미소는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 명상에 잠긴 싯타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반가사유상에 표현 되어 있는 생생한 옷주름과 아름답고 완화한 표정, 우아한 곡선은 한국의 미적 요소를 제데로 보여주는 면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반가사유상의 표정에서 어떻게 보면 슬프면서도 기쁜 표정으로  특유의 온화한 미소를 띄고 있는 모습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의 미소를 연상케 하는데, 모나리자가 유럽 최고의 미소라며 우리나라의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미소는 동양최고의 미소이자 한국의 미소라고 생각할 만큼 아름다운 미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럽의 '생각하는 사람' 동상의 고뇌의 모습과 반가사유상의 고뇌의 모습과 비교해도 전혀 꿀리지 않고 우리나라 특유의 표현방식이 아름답게 드러나는 등 여러 미적 요소들이 표현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반가사유상은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과 비교했을 때 특유의 중의적 미소로 인해 동양 최고의 예술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일본의 반가사유상은 목재로 제작되어 국보1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반가사유상에 쓰인 목재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목재라고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일본에 불교전파에 영향을 끼쳤음뿐만 아니라  당시 신라와의 여러 문화적, 종교적 교류 등이 있었고 서로의 많은 영향을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 반가사유상을 통해서 당시 배경을 알 수 있으며, 외국의 다른 조각상들과 비교해도 전혀 뒤쳐지지 않고, 우리나라 특유의 미적 아름다움이 가장 잘 표현된 가치 있는 예술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

참고자료

  • 미디어경청사진.jpg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EA%B8%88%EB%8F%99%EB%AF%B8%EB%A5%B5%EB%B3%B4%EC%82%B4%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_(%EA%B5%AD%EB%B3%B4_%EC%A0%9C83%ED%98%B8)_10.jpg